오세훈 시장, 신속통합기획 2.0으로 2031년까지 31만 가구 공급 계획 발표
서울시가 주택공급 대책의 속도를 한층 더 높이겠다고 나섰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9일 기자설명회에서 ‘신속통합기획 2.0’을 공개하며 2031년까지 31만 가구를 착공하고, 2035년까지 37만 7천 가구를 공급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놓았습니다.
그동안 서울 집값을 자극해 온 가장 큰 원인으로는 공급 부족이 꼽혀왔는데요. 오 시장은 “부동산 가격이 단순히 공급만으로 결정되진 않지만, 수급 불균형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며 이번 대책이 집값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신속통합기획 2.0 핵심
- 정비사업 기간 최대 6.5년 단축
- 한강벨트와 강남 3구 등 수요 많은 지역에 집중 공급
- 정비구역·모아주택·소규모 정비사업 포함 시 2031년까지 최대 39만 가구 공급 가능
특히 한강벨트 권역에는 전체 공급 물량의 약 64%에 해당하는 19만 8천 가구를 집중해 수요가 몰린 지역의 가격 안정을 도모하겠다는 전략입니다.
우려와 대응
기자회견에서는 공급 확대가 오히려 투자 심리를 자극해 단기적으로 가격이 오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습니다. 이에 대해 오 시장은 “일시적으로 그런 현상이 나타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공급 부족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해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또한 강남·성동·영등포 등 수요가 많은 지역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 가능성에 대해서는 “현재로서는 계획이 없다”고 못 박았습니다.
정부와의 차이점
정부가 9·7 대책에서 전국적으로 135만 가구 공급을 내세운 것과 달리, 서울시는 2031년까지 31만 가구 공급이라는 보다 현실적인 수치를 제시했습니다. 오 시장은 “이미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432곳과 신통기획 지정 예정 구역을 기준으로 가능한 물량을 산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분양가 상한제나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같은 굵직한 규제 완화에 대해서는 서울시 단독으로 결정할 수 없는 부분이기에 정부와 협의가 필요하다는 점도 덧붙였습니다.
마무리
결국 서울시의 이번 대책은 “속도전”에 방점이 찍혀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시장 불안이 나타날 수 있지만, 공급 불확실성을 줄여 장기적으로 안정화 효과를 기대하는 모습입니다. 서울 집값 흐름을 좌우할 변수가 하나 더 추가된 셈이고, 앞으로 정부와의 정책 조율이 어떤 방향으로 이어질지가 시장의 핵심 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