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난, 왜 또 찾아왔나? 원인과 대응 전략
전세난은 단기 쇼크가 아니라 누적된 구조적 문제에 가깝습니다.
요즘 뉴스만 켜면 ‘전세난’이라는 단어를 다시 보게 됩니다. 서울을 중심으로 전세 매물은 줄고, 가격은 오르면서 실수요자의 불안이 커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세난이 왜 반복되는지, 그리고 지금 우리가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대처가 무엇인지 차근히 짚어보겠습니다.
공급의 불균형: 수요는 늘고, 집은 없다
가장 큰 이유는 간단합니다.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합니다. 서울·수도권의 신규 입주 물량은 한정적인데, 재건축·재개발 지역의 임시 이주 수요가 겹치면서 전세 수요가 단기간에 팽창했습니다. 개발 지연이나 분양가 논란이 이어진 곳은 입주가 미뤄져 매물 부족이 더 심해졌죠.
금리와 정책의 이중 압박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자가 매입을 고민하던 수요가 멈칫하고, 그만큼 전세 시장으로 이동합니다. 동시에 2020년의 임대차 2법(전월세 상한제·계약갱신청구권제)은 기존 세입자의 장기 거주를 가능하게 했지만, 반대로 신규 전세 물건이 시장에 나오기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정책의 취지는 이해되지만, 현장에서는 새로운 수요를 흡수하기 힘든 상황이 된 셈입니다.
전세난이 불러온 연쇄 반응
전세가가 오르면 월세 시장도 같이 흔들립니다. 집주인 입장에선 전세보다 월세가 유리해 보이기 때문에, 전세→월세 전환이 가속화됩니다. 세입자의 월 부담은 커지고, 주거 안정성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여기에 ‘깡통전세’, ‘전세사기’ 같은 부작용까지 겹치면, 전세 제도에 대한 신뢰도 자체가 흔들립니다.
정부 대책과 개인 전략, 동시에 필요
정부는 중장기 공급 확대와 실거주자 보호를 병행해야 합니다. 공공임대 확대, 중산층 대상 주거 지원, 전세 사기 방지 시스템 강화, 청년·신혼부부 금융지원 등이 대표적이죠. 다만 정책은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걸립니다.
• 보증금 반환 보증 가입 가능 여부 확인
• 등기부등본(근저당·가압류) 및 건물 상태 점검
• 시세 대비 과도하게 낮은 전세 매물은 의심
• 계약서 특약으로 수리·하자 책임, 전입·확정일자 일정 명시
장기적으로는 청약 전략을 세워두고, 임대→자가 전환 계획을 설계하거나, 가능한 경우 거주 지역 분산을 고려하는 것도 비용·리스크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마무리
전세난은 일시적 해프닝이 아니라 여러 요인이 겹쳐 생긴 구조적 문제입니다. 정책, 시장, 개인이 각자의 자리에서 해법을 찾아야 풀립니다. aptnews.shop은 앞으로도 전세 시장의 흐름과 대안, 실수요자를 위한 정보를 꾸준히 전해드리겠습니다.
답글 남기기